본문 바로가기
취미생활/영화리뷰

영화 데몰리션 리뷰 : 상실의 슬픔, 쉽지 않은 애도

2021. 5. 18.
반응형

영화에 대해서

2016년에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입니다.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을 만든 장 마크 발레가 감독을 맡았고, 옥자,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나이트 크롤러, 프리즈너스 등에 나온 제이크 질렌할이 주연을 맡았고, 나오미 와츠 등이 출연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같은 해 7월에 개봉하였는데,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엇갈리는 반응을 얻기도 했습니다. 이야기 구조가 다소 산만한 느낌을 주기도 할뿐더러, 탄탄하게 이야기하기보다는 감각적으로 이야기해 호불호가 갈릴 법한 구조를 택하고 있기 때문인 듯합니다.

그래서 저는 사실 이 영화를 더 좋아하게 되었습니다만, 그 이야기는 줄거리를 먼저 소개한 후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줄거리

영화는 교통사고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데이비스는 성공한 투자은행 직원이며, 동시에 그 은행장의 사위이기도 합니다.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아내 줄리아와 결혼했지만, 둘의 현재 결혼 생활은 그렇게 아름답지 않습니다. 그날도 냉장고를 고쳐달라는 줄리아의 말을 무시하는 데이비스에게 줄리아가 불만을 표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렇게 갑작스럽게 끝날 줄은 아무도 예상치 못했을 것입니다.

줄리아와 달리 크게 다친 곳도 없는 데이비스는 장인 장모와 함께 응급실에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곧 줄리아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됩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데이비스는 그 어떤 감정도 보이지 않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아내를 잃은 남편의 모습과는 다소 달랐습니다. 그저 그는 자판기로 가서 스낵 하나를 뽑으려고 시도했다가 나오지 않은 것이 언짢을 뿐입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이 줄리아를 사랑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오히려 전과 다르지 않은 데이비스의 모습에 당황한 것은 다른 사람들이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전과 다름없이 행동하고 움직이는 데이비스의 모습에 오히려 더 걱정하고 위로를 해 줍니다. 그러나 데이비스는 아무렇지 않은 듯 보일 뿐입니다. 하지만 점점 줄리아의 빈자리는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그녀가 시킨 커피 머신, 그리고 그녀가 냉장고에 남긴 쪽지.

바쁜 척만 하지 말고, 나 좀 고쳐줘요

냉장고인 척 쓴 것인지, 아니면 그녀 자신을 말하는 것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때 데이비스는 장인이 자신에게 해 준 말을 기억하고는 냉장고를 분해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고치는 것은 마치 기계를 수리하는 것과 같아. 모두 분해해 보아야 하지.

한편, 그가 자판기 회사로 보낸 클레임 편지는 자판기 회사 직원인 캐런에게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새벽 2시 캐런은 데이비스에게 연락합니다.

얘기할 사람은 있나요?

그렇게 두 사람은 이야기를 주고받게 되고 데이비스는 점점 더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리고 그 속에 있는 줄리아까지도 다시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리고 그날부터 그는 자신이 알 수 없는 모든 것을 분해하려는 듯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장인이 물려받은 오래된 시계, 장인 댁의 조명, 커피 머신, 냉장고, 삐걱대는 문, 그러다가는 이내 다른 집을 해체하는 공사현장에까지 가서 일하고는 자신의 집을 분해하기까지 합니다. 그리고 그는 말합니다.

나의 결혼생활을 분해하는 거야.

아내를 잃고 아내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된 남자, 데이비스. 그는 과연 무엇을 알게 되었을까요.

 

상실의 슬픔, 쉽지 않은 애도

이 영화를 보게 된 것은 그때 만나던 남자 친구와 헤어진 직후였습니다. 사람이 많이 보지 않을 것 같은 영화를 보고 싶었고, 그래서 이 영화를 혼자 보러 갔던 기억이 납니다. 제이크 질렌할을 좋아하기도 했었으니까요. 그리고 이 영화를 선택한 것은 꽤 적절한 선택이었던 것 같았단 생각을 했습니다.

한바탕 난리를 버리는 데이비스를 보고 있노라면, 내가 겪은 이별 같은 것은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생각되기 시작했으니까요. 데이비스와 함께 100분을 보내고 나니, 한 바탕 애도의 제를 올린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는 상실한 이후, 상실을 깨닫고 수용하고 애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데이비스는 아내를 잃고도 슬프지 않다며, 오히려 배가 고파 자판기를 쓰려는데 자판기가 제대로 물건을 내놓지 않은 것에 대해 클레임 편지를 씁니다. 하지만 그가 편지에 쓴 것은 자판기 고장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자신의 이야기뿐이었습니다. 그는 단지 편안하게 자신의 감정을 내놓을 사람이 없었던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아내를 사랑하지 않았다'라고 말한 이후에 출근 열차를 급정거하게 만드는 돌발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상실은 이렇게 우리를 비이성적으로 만든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한참을 그렇게 도시의 부랑자처럼, 떠돌이 예술가처럼, 열심히 사는 건축노동자처럼 살던 그는 깨닫게 됩니다.

자신은 아내를 사랑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사랑했지만 그 사랑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고 정성을 다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그래서 그 미안함 때문에, 후회 때문에 오히려 그는 그동안 그렇게 반응한 것이었을지도 모른단 생각이 듭니다.

그가 처음으로 울던 날, 드디어 그는 줄리아를 놓아줄 준비를 하게 됩니다. 그렇게 100분 동안 데이비스와 함께 상실을 경험하고 수용하고 애도하는 과정을 함께 하고 나면 오히려 나올 때는 선선한 기분까지 들기도 합니다. 그 후로도 이 영화는 한 번씩 다시 보곤 했습니다.

장 마크 발레 감독의 색채로 그려진 영화는 우아하면서도 재치 있고, 시니컬하면서도 매력적입니다. 귓가에 라보엠이 맴도는 영화, 데몰리션입니다.

반응형

댓글